진달래&박우혁
한주예
최산호
황상준, 김선엽

Jin Dallae & Park Woohyuk
Han Juye
Choi Sanho
Hwang Sangjun, Kim Sunyeop

갈릴레오는 음의 높낮이가 현이 시간당 진동하는 주파수라는 것을 알아냈다. 악기의 진동은 주변 공기의 분자들을 진동하게 한다. 이 진동은 곧 수를 의미한다. 이것은 수에 모든 진리가 있다 믿었던 피타고라스를 떠올리게 한다.

수에 의한 완전한 조화를 추구했던 피타고라스는 모든 화음을 1:2, 2:3의 간단한 정수비나 자연수의 비로 설명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리고 소리와 진동의 비례로 찾아낸 화음은 현재 서양에서 쓰고있는 음계의 초석이 되었다.

피타고라스의 이론에 따르면 음이란 반음씩 두번 오르면  온음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론적으로 같은 진동을 가져야 하는 두개의 음은 실제로 진동수에 차이가 발생한다. 피타고라스 콤마는 온음이 되기에 부족한 아주 작은 오차를 메우는 수를 말한다. 이 오차는 불완전한 음과 불협화음의 원인이 된다. 이 프로젝트는 피타고라스가 강조하고 추구했던 조화가 결국 모순된 결론임의 보여주는 피타고라스 콤마의 존재처럼 사람들 사이의 약속된 규칙과 정해진 규범의 한계를 찾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우리는 여러 형태의 예술분야가 서로 밀고 당기고, 성내고 화해하는 시시각각의 불완전함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 새로운 모색의 실마리를 발견하려고 한다. 참여작가들은 소리와 소리사이, 그림과 그림 사이, 언어와 언어 사이, 몸짓과 몸짓 사이의 남겨진 것을 깊게 탐색하고 자의적 해석을 드러낸다. 또한 지구의 자전소리나 혈관 속의 피가 흐르는 소리와 같이 일정 파장의 폭을 벗어나 존재하지만 느껴지지 않는 소리와 행위를 구체화하여 인지하는 감각과 개념의 확장을 시도한다. 관객에게는 가공과 실재, 이상과 현실, 허상과 실상 등의 대립 쌍들을 제안하고 복잡하게 얽힌 현실계에 이 대립 쌍들의 구별이 어디까지 가능한가 묻는다. 결과적으로 소리와 행위, 대상을 통제하기 보다는 통제의 방식과 그 자체를 기록하는 방식을 그대로 드러내 처음 던진 질문의 한계와 가능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한주예는 시뮬라르크와 본질이라는 예술의 가장 근본적 문제에 의문을 던진다. 한주예의 피아노는 언어와 같이 기표로 작용할 뿐 울리지 않는다. 형체는 빛을 순순히 통과시켜 가시광선을 반응시키지 않는다. 모세혈관까지 선명하게 드러나는 투명한 악기는 소리로 실제 기능하지 않지만

그 섬세한 기관이 중력의 법칙에 따라 상상속에 기능하는 상황은 역설적이다. 진달래와 박우혁은 전시장 전체를 하나의 연극적 상황(imaginary performance)으로 설정하고 그것을 대본처럼 악보화 한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시간과 공간이 부딛히며 발생하는 오차와 한계로 인해 어긋나는 상황은 그대로 재현될수 없다. 기표와 기의가 핑퐁처럼 오가며 의미가 와전되고 전달되는 과정은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오히려 유의미하다. 이 의식은 한편으론 불협화음으로 부딪힐것이고 어떤 이에게는 머리속 깊은 서랍에 보관된 카세트의 익숙한 리듬을 떠올리게 할 것이다.

최산호는 동화로 ‘불가능한 연주’를 해석하고 그 결과를 퍼포먼스를 통해 관객에게 참여를 유도한다. 최산호에게 있어 연주(演奏)란 악기를 다루어 곡을 표현하거나 들려주는 일이거나 구슬을 꿴다는 연주(聯珠)의 이중적 의미이다.  따라서 글라스 하프(유리잔과 손가락의 마찰로 인한 진동으로 공기를 공명시키는 연주)를 연주하며 관객과 함께 동화를 읽고 맛을 느끼는 행위는 현실적이고 환경적인 문제때문에 잊고있었던 불가능한 본인의 "꿈"을 상기시키며 공감각적 울림을 이끌어낸다.

김선엽과 황상준은 보고있기 때문에 들리고 듣고있기 때문에 보인다는 주제로 본능과 소통의 도구로서 춤을 제안한다.

보고 듣는 감각은 마치 시소처럼 서로를 극대화하기도하고 반대로 제한하기도한다. 두 작가는 시청각을 제어하는 경험을 관객과 공유하고 행위를 통해 보여준다. 이 행위는 춤과 텍스트 소리와 보이는 대상을 날것 그대로 드러내고자하는 격렬한 대결의 결과다.




_ 진달래 (번역: Iris han you)




Galileo discovered that the high and low pitches of a string depended on the frequency of the sound waves it created. When an instrument vibrates, it causes the air particles around it to also vibrate. These frequencies are numbers, and we think of Pythagoras who explained the truth of all things through mathematics. Pythagoras searched for the perfect harmony in numbers and believed that the musical scales could be explained through simple mathematical ratios of 1:2 and 2:3. The tones discovered through these ratios of pitches and frequencies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western scales used today. According to this Pythagorean theory, a semitone should become a whole tone when stepped up twice. However in real life, there exists a small interval in frequencies between the two tones when it should be exact according to the theory. Pythagorean comma represents that small number needed to fill the gap in tuning. This gap becomes the cause for the imperfect tones and dissonances. Like the irony of the existence of Pythagorean comma to Pythagorean ideal of perfect harmony, this project starts from questioning and searching for the limitations of the agreed rules and established norms among people.

intends to find clues for a new solution by exposing imperfections as various artistic disciplines push and pull, clash and reconcile with one another moment by moment. Participating artists will explore and present their own arbitrary observation of what is left behind between sounds, drawings, words, and gestures. Furthermore by actualizing imperceptible sounds and activities that exist outside of regular wavelengths such as the sound of earth rotating or blood flowing in our veins, will attempt to broaden our perception and conception. The audience will be presented with opposing pairings such as fiction and truth, ideals and reality, and illusion and actuality, then questioned whether it would be possible to identify the boundaries between the opposing pairs in our complicated realities. In the end, we intend to expose both the limitation and the possibility of our initial question by showing the method of control and recording tools rather than trying to control sounds, actions and subjects.

Jin and Park set the entire exhibition space as the stage for an imaginary performance and use it like a music score similar to a scenario. However in the end, it is impossible to reproduce a situation because gaps appear when time and space clash and

opportunities are missed. As greatly exaggerated or marginalized signifiers and signified are exchanged back and forth like Ping-Pong, creating process of mis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things actually start to make sense. This ritual to some may feel like being thrown into cacophony and to others may feel like discovering a familiar rhythm of an old cassette tape

archived deep in their memory.

Juye Han questions the very nature of art, of simulacra and the essence. Juye Han’s piano sits soundless and functions only as a signified like words would. Its form freely lets the light through without reacting to visible rays. The transparent instrument with clearly visible capillaries cannot make sound, but presents paradox as its delicate organs react to the law of gravity in our

imaginations.

Sanho Choi interprets ‘Impossible Performance’ through nursery tales. The result then is performed as he encourages the audience to participate. To Sanho Choi, the word ‘Yunju(演奏)’ has double meaning of playing a score with an instrument or performing for someone, as well as threading beads (聯珠). Therefore through the act of playing a glass harp (performance that creates sound through friction of a finger and a glass rim), reading nursery tales and tasting wine together, the artist reminds the audience of dreams they have forgotten under the weight of reality or circumstances, and brings out the empathetic resonance.

Under the premise that we are able to listen because we are seeing, and we are able to see because we are listening, Sangjun Hwang and Sunyeop Kim present dance as the tool to express impulses and to communicate. Like riding a seesaw, the sense of vision and hearing can sometimes amplify or overpower each other. The two artists will demonstrate and share the experience of controlling visual and auditory senses with the audience. This act is a result of an impassioned duel to expose the raw nature of dance, text, sound and visual objects.


© Jin Dallae & Park Woohyuk